본문 바로가기

스타트업

에듀테크 실생활 적용 사례와 콘텐츠 소개

반응형
에듀테크 활용 사례

글로벌 에듀테크 시장은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적응형 학습 분석 서비스로부터 출발하여

 

최근에는 가상현실(VR) 기술을 활용한 실감형 콘텐츠까지 영역을 점차 확대하고 있다.

 

국내 에듀테크 시장은 공교육 보다 사교육 시장을 중심으로 발전해오고 있으며,

 

특히 학습자의 학습활동을 진단하고 학업성취를 높일 수 있는 적응형 학습 형태의 서비스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국내 주요 에듀테크 기업 서비스 대부분이 초중등 학습자를 주요 대상으로 서비스이다.

 

업체명 주요특징
웅진 - 글로벌 에듀테크 기업 Kidaptive의 ALP(Adaptive Learning Platform)를 도입
- 학습자의 흥미를 유도하면서 학습에 몰입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 문제 풀이시간 등 학습활동 패턴을 분석하여 학습자의 습관을 교정하는데 도움 제공
산타토익 - 토익(TOEIC) 시험 점수를 빠르게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지능형 튜터 서비스
-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수준을 파악하고, 이에 따라 최적의 학습경로 추천
- 학습 도중 진단을 통해 취약 분야를 발견하면 집중적으로 콘텐츠를 제공하여 보강할 수 있도록 지원
노리 - 수학 과목에 특화된 맞춤형 학습 서비스, 온라인 개인교사 표방
-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문제를 제공
- 반복적으로 틀리는 문제에 대해 부족한 개념을 파악하고, 이를 집중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콘텐츠 제공
마타수학 -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취약한 수학 개념을 분석
- 맞춤형 문제 추천 서비스 제공
- 학습자 맞춤형으로 최적의 학습경로를 제시
천재교육 -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학습 유형을 분석하여 맞춤 시간표와 학습법 추천
- 유명 강사진의 강의를 제공
- 전문가의 1:1 학습관리 서비스 제공
 
출처 산타토익, 웅진 스마트올

 

국내 에듀테크 산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정보 접근성에 대한 개선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에듀테크의 핵심적인 기능은 개인 수준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개인 수준의 빅데이터 수집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분석은 필수적일 수밖에 없다.

 

일명 ‘데이터 3법’으로 불리는 개인정보 보호법,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 한 법률,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

 

데이터 3법 개정안의 국회 본회의 통과는 개인 수준의 데이터 활용 활성화를 위한 신호탄으로 생각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