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타트업

스타트업의 목표인 엑시트, IPO, M&A 알아보기

반응형
엑시트

엑시트는 투자 후 출구전략을 의미하는데 투자자의 입장에서 자금을 회수하는 방안을 말한다.

스타트업은 액셀러레이터, 엔젤투자자, 벤처캐피털 등 다양한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조달한다.

스타트업에 투자한 투자자들은 투자의 대가로 보통 스타트업의 주식을 취득한다.

스타트업이 청산을 하지 않고 존속하는 한 투자자가

투자한 자금을 회수하는 유일한 방법은 주식을 양도하는 것이다. 

투자자가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받은 주식을 팔아 투자 자금을 회수하고 것을 엑시트라고 한다.

스타트업 투자자가 엑시트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이 IPO와 M&A이다.

 

IPO

IPO는 Initial Public Offering라는 영어의 약자이고, 한글로는 기업 공개라고 한다.

기업이 최초로 외부 투자자에게 주식을 공개 매도하는 것으로

보통 코스닥이나 나스닥 등 주식시장에 처음 상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장을 하기 위해 최초로 기업의 현황을 공개하고 심사를 받은 후,

기업의 주식을 주식 시장에 공식적으로 등록하는 것을 IPO라고 한다.

기업이 IPO에 성공하면 투자자는 보유하고 있던 주식을 코스닥 같은 시장에서 팔아 엑시트할 수 있게 된다.

기업이 공개하지 않으면 그 기업의 현황을 알 수 없는 주식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해,

IPO 절차는 상당히 까다롭고 복잡하다.

그래서 보통 몇 년에 걸쳐 IPO를 준비하며 증권회사와 로펌의 도움을 받는다. 

IPO가 쉽지 않기 때문에 스타트업이 IPO로 엑시트에 성공하는 확률은 매우 낮다.

 

M&A

M&A는 Mergers&Acquisitions 영어의 약자로, 한글로는 기업 인수,합병을 뜻한다.

기업의 외적 성장을 위한 발전전략으로 특정 기업이 다른 기업의 경영권을 인수할 목적으로 소유지분을

확보하는 제반과정으로 기업합병과 한 기업이 다른 하나의 자산 또는 주식의 취득을 통해 경영권을

획득하는 기업 인수가 결합된 개념이며 기본적으로 주식 확보를 통해 이뤄진다.

인수합병을 하는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보통 인수 대상 기업의 성장성을 보고 기존 운영하던

사업의 시너지를 기대하거나 시장 지배력을 높이기 위해 M&A를 한다.

인수 합병되는 스타트업의 투자자는 스타트업을 인수하는 회사에게 주식을 팔아

자금을 회수하고 엑시트할 수 있다.

독일의 딜리버리히어로가 배달의 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 형제들을 40억 달러(약 4조 7,500억 원)에

인수하면서 성공적인 엑시트를 하기도 하였다.

출처 요기요, 배달의민족

배달의 민족처럼 기업이 운영하던 서비스 자체의 가치를 높게 평가받아 인수합병이 되는 경우도 있지만,

당연히 이런 일은 스타트업의 세계에서는 극히 드문 일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