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프로그래밍 개발/04. 알고리즘 문제풀이

백준 알고리즘 9625번 [BABBA] 문제풀이코드 공개

반응형

문제

상근이는 길을 걷다가 신기한 기계를 발견했다. 기계는 매우 매우 큰 화면과 버튼 하나로 이루어져 있다.

기계를 발견했을 때, 화면에는 A만 표시되어져 있었다. 버튼을 누르니 글자가 B로 변했다. 한 번 더 누르니 BA로 바뀌고, 그 다음에는 BAB, 그리고 BABBA로 바뀌었다. 상근이는 화면의 모든 B는 BA로 바뀌고, A는 B로 바뀐다는 사실을 알게되었다.

버튼을 K번 눌렀을 때, 화면에 A와 B의 개수는 몇 개가 될까?

입력

첫째 줄에 K (1 ≤ K ≤ 45)가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A의 개수와 B의 개수를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

출처

Contest > Croatian Open Competition in Informatics > COCI 2013/2014 > Contest #3 1번

  • 문제를 번역한 사람: baekjoon
  • 문제의 오타를 찾은 사람: hahaha

알고리즘 분류

#include<stdio.h>
#include<string.h>
#include<stdlib.h>

int main(){
	int a = 1;
	int b = 0;
	int n;
	int t;
	scanf("%d",&n);
	for(int i = 0 ; i < n ; i++){
		t = a+b;
		a = b;
		b = t;
	}
	printf("%d %d\n",a,b);

}

정답 코드가 너무 허무할 정도로 간단한데... 이딴게..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항상 보면 다이나믹 프로그램이은 문제 글만 어렵고 규칙만 깨닫고 정답 패턴만 알게되면 

코드 작성하는 것은 굉장히 쉬운 것 같다.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은 손으로 직접 답을 처음부터 써가면서 

규칙을 찾아내보는 것이 가장 빠르고 쉽게 해결해나가는 방법임을 다시 한번 깨닫게 해주는 문제인 것 같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