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프로그래밍 개발/04. 알고리즘 문제풀이

백준 알고리즘 2846번 [오르막길] 문제풀이코드공개 - 정렬 알고리즘

반응형

문제

상근이는 자전거를 타고 등교한다. 자전거 길은 오르막길, 내리막길, 평지로 이루어져 있다. 상근이는 개강 첫 날 자전거를 타고 가면서 일정 거리마다 높이를 측정했다. 상근이는 가장 큰 오르막길의 크기를 구하려고 한다.

측정한 높이는 길이가 N인 수열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오르막길은 적어도 2개의 수로 이루어진 높이가 증가하는 부분 수열이다. 오르막길의 크기는 부분 수열의 첫 번째 숫자와 마지막 숫자의 차이이다.

예를 들어, 높이가 다음과 같은 길이 있다고 하자. 12 3 5 7 10 6 1 11. 이 길에는 2 개의 오르막길이 있다. 밑 줄로 표시된 부분 수열이 오르막길이다. 첫 번째 오르막길의 크기는 7이고, 두 번째 오르막길의 크기는 10이다. 높이가 12와 6인 곳은 오르막길에 속하지 않는다.

가장 큰 오르막길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상근이가 측정한 높이의 수이자 수열의 크기인 N(1 ≤ N ≤ 1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N개의 양의 정수 Pi(1 ≤ Pi ≤ 1000)가 주어진다. 각 숫자는 상근이가 측정한 높이이다.

출력

첫째 줄에 가장 큰 오르막길의 크기를 출력한다. 만약 오르막길이 없는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과 출력 결과 이미지 (첫번째)
예제 입력과 출력 결과 이미지 (두번째)
예제 입력과 출력 결과 이미지 (세번째)

출처

Contest > Croatian Open Competition in Informatics > COCI 2010/2011 > Contest #6 2번

알고리즘 분류

코드 제출 결과

#include<stdio.h>
#include<stdlib.h>
#include<string.h>

int main(){
	int n;
	scanf("%d",&n);
	int *arr = (int*)malloc(sizeof(int)*n);
	for(int i = 0 ; i < n ; i++)
		scanf("%d",&arr[i]);
	int max = 0;
	int start = arr[0];
	int end = arr[0];
	for(int i = 1 ; i < n; i++){
		if(end < arr[i]){
			end = arr[i];
			//printf("start : %d  end :  %d\n",start,end);
		}			
		else{
			if(max < end - start)
				max = end - start;
			//printf("max : %d \n",max);
			start = arr[i];
			end = arr[i];
		}
	}
	if(max < end - start)
		max = end - start;
	printf("%d\n",max);
}

구현 알고리즘의 경우, 규칙을 찾아서 코드를 작성해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규칙을 찾기 위해서는 머리 속에서 상상의 나라를 펼치는 것이 아니라 손으로 입력 변수별로 결과 값을 계산해보는 것이 가장 빠르게 규칙을 찾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본 문제에서는 규칙을 찾을 필요가 없다. 

단순히 처음부터 min 값과 max 값을 찾아 탐색을 진행하면서 오르막길 중 가장 큰 차이 값을 계산하면 된다. 이와같은 탐색 문제는 가장 쉬운 유형에 속한다고도 할 수 있으니, 비슷한 여러문제를 풀어보고 문제 출제 유형의 패턴을 알아보시길 바라겠습니다! 이상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