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제
이진수 덧셈은 매우 간단하고, 십진수 덧셈과 비슷하게 하면 된다. 십진수 덧셈을 할 때는, 오른쪽부터 왼쪽으로 차례대로 숫자 하나씩 더하면 된다. 이진수 덧셈도 이와 비슷하게 하면 된다. 십진수 덧셈은 외워야 할 덧셈이 많지만, 이진수 덧셈은 아래와 같이 5가지만 기억하면 된다.
- 0 + 0 = 0
- 1 + 0 = 1
- 0 + 1 = 1
- 1 + 1 = 10
- 1 + 1 + 1 = 11
두 이진수가 주어졌을 때, 그 합을 이진수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수 T(1<=T<=1,000)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숫자 2개로 이루어져있다. 이 숫자는 0과 1로만 이루어진 이진수이며, 길이는 최대 80자리이다. (덧셈 결과는 81자리가 될 수도 있다) 이진수는 0으로 시작할 수도 있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입력으로 주어진 두 이진수의 합을 구해 이진수로 출력한다. 숫자의 앞에 불필요한 0이 붙으면 안 된다.
출처
ICPC > Regionals > North America > Greater New York Region > 2005 Greater New York Programming Contest A번
지금까지 옛날 코드 포스팅을 쓰면서 처음으로 python을 발견한 것 같다.
아마 python을 처음 공부했을 때 작성한 코드인 것 같아 보이며,
그만큼 어떤 코드로 작성하였을지 참 걱정이 된다. ..
tc = int(input())
for i in range(0,tc):
a = input().split(' ')
print(bin(int(a[0],2) + int(a[1],2))[2:])
와우... 굉장히 헷갈리는 코드 작성 방법이다.
지금은 이런식으로 코드를 안 짜서.. 굉장히 색다른 기분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