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tps://blog.kakaocdn.net/dn/Mcfpx/btry65Ufa8y/ReHkS6nfubX36arIs3POg0/img.png)
문제
정수를 저장하는 큐를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여섯 가지이다.
- push X: 정수 X를 큐에 넣는 연산이다.
- pop: 큐에서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 size: 큐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 empty: 큐가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 front: 큐의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 back: 큐의 가장 뒤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입력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1 ≤ N ≤ 1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다. 문제에 나와있지 않은 명령이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
출력
출력해야하는 명령이 주어질 때마다,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출처
- 문제를 만든 사람: baekjoon
- 문제의 오타를 찾은 사람: compro0317
아래는 정답코드이다.
#include<stdio.h>
#include<string.h>
int main(){
int n;
char s[6];
int num;
int stack[10000];
int temp = 0;
int front = 0;
int count=0;
int t = 0;
int arr[10000];
int q=0;
scanf("%d",&n);
for(int i = 0 ;i<n; i++){
scanf("%s",&s);
if(strcmp(s,"push")==0){
scanf("%d",&num);
stack[temp++] = num;
}
else if(strcmp(s,"pop")==0){
if(temp != front){
arr[q++] = stack[front++];
}
else
arr[q++] = -1;
}
else if(strcmp(s,"size")==0){
arr[q++] = temp-front ;
}
else if(strcmp(s,"empty")==0){
if(temp==front){
arr[q++] = 1;
}else
arr[q++] = 0;
}
else if(strcmp(s,"front")==0){
if(temp !=front){
arr[q++] = stack[front];
}
else
arr[q++] = -1;
}
else{ // back
if(temp !=front){
int out = temp -1;
arr[q++] = stack[out];
}
else
arr[q++] = -1;
}
strcpy(s,"");
}
for(int i = 0 ; i<q;i++)
printf("%d\n",arr[i]);
}
큐는 선입선출의 대표적인 자료구조 알고리즘이다.
이를 라이브러리 없이 구현하는 것은 꽤나 힘든 일이지만, 한번쯤은 해봐야 하는 코드이기도 하다.
이러한 자료구조들이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 어떠한 형태로 작동되는지 원리를 알아야
추후 현업에서 해당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 어떻게 응용하고 변경할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반응형